경리 업무 꿀팁!

세금계산서 날짜 완전 정복 - 작성일자 발급일자 전송일자!

경리 에이스 조사원 2025. 4. 6. 11:54

안녕하세요오 (*≧▽≦)
막 사회생활 시작해서 경리 업무 배우고 있는 20살 경리 에이스 조사원이예요!
요즘은 매일 전자세금계산서 발행하면서
‘이 날짜가 맞나...? 아닌가...?’ 하면서 두근두근하는 하루를 보내고 있답니다… (•́⍛•̀;)
사실 전자세금계산서에는
‘작성일자’, ‘발급일자’, ‘전송일자’
이렇게 세 가지 중요한 날짜가 있는데요!
저처럼 처음 배우는 분들은 진짜 헷갈리실 거예요 (ಥ﹏ಥ)
그래서 오늘은!
제가 직접 실무하면서 이해한 내용을 귀엽게 정리해봤어요 (´꒳`)
같이 한 번 정리해봐요아아~


1. 작성일자 = 거래가 실제로 있었던 날이에요!
작성일자는 그냥 문서 쓰는 날이 아니고요~
물건을 납품했거나, 서비스를 제공한 ‘실제 거래일’이에요 (งᐛ )ง
예를 들어 3월 28일에 납품했다면?
작성일자는 무조건 3월 28일!
이 날짜는 회계처리랑 부가세 신고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
진짜루! 아무 날짜로 쓰면 안 돼요~!
꿀팁!
실제 거래일 기준으로 정확하게 입력 안 하면,
나중에 부가세 신고할 때 꼬이고… 가산세도 생길 수 있어요… (ㅠ︿ㅠ)


2. 발급일자 = 세금계산서를 진짜 발행한 날!
작성은 해놨는데, 아직 ‘진짜 발행’은 안 한 상태?
그럼 발급일자가 없는 거예요~!
공인인증서로 싸인! 딱! 하고
정식으로 발행한 날이 ‘발급일자’랍니다 (๑•̀ㅂ•́)و✧
여기서 중요한 거!!
작성일자가 속한 다음 달 10일까지는 꼭 발급을 마쳐야 해요!
예시!)
3월 28일에 거래했다면 → 4월 10일까지는 발급 완료!
(10일 넘으면 무조건 가산세 생겨요... 또르르)
주의사항!
만약 10일이 토요일이나 공휴일이면?
그 다음 ‘평일’이 마감일이에요! 체크체크! (•̀ᴗ•́)و


3. 전송일자 = 국세청에 보낸 날!
세금계산서 작성하고~ 발급도 했는데~
국세청에 안 보냈다?
그럼 아직 끝난 게 아니에요! (⊙_☉)
전송일자는 국세청으로 ‘전송 완료한 날’이에요.
보통은 발급한 당일에 자동 전송되지만,
간혹 프로그램에서 전송이 따로 되는 경우도 있어서
한 번쯤은 확인해줘야 해요~!
꼭 기억하기!
발급일 다음 날까지 전송 안 하면
지연전송 가산세가 나올 수 있어요~ (╯︵╰,)


저는 이렇게 해요! (에이스 루틴 공개)
저는 거래 생기면 바로 그 주에 작성하고,
시간 있을 때 발급하고,
그날 바로 전송까지 해버려요! (˘︶˘).。.:*♡
이렇게 하면 매달 10일 즈음에 정신없을 때
우왕좌왕하지 않아도 되고,
누락 걱정도 없어서 진짜 편해요!


헷갈리는 세금계산서 날짜들,
이제 조금 감이 오셨죠? (⁰▿⁰)
요 세 가지 날짜만 정확히 기억해도
경리 업무가 한결 쉬워질 거예요오오!
그럼 마지막으로,
초보 경리 언니·오빠들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 3가지 정리해볼게요아~


---

자주 묻는 질문 Q&A

Q1. 작성일자랑 발급일자가 달라도 되나요?
A. 네~ 달라도 괜찮아요!
작성일자는 거래한 날이고, 발급일자는 발행한 날이니까
당연히 다를 수 있어요 (๑>◡<๑)
단! 발급일이 작성일자의 다음 달 10일 넘으면 안 돼요!

Q2. 발급했는데 전송을 깜빡했어요! 어떡해요?
A. 당황하지 마세요~ (⊃‿⊂)
발급 다음 날까지 전송해야 가산세가 없어요.
늦었다면 빨리 전송하고,
신고할 때 정정 여부 확인하면 돼요!

Q3. 10일이 토요일이면 언제까지 발급해야 해요?
A. 토요일이나 공휴일이라면 걱정 마세요~
다음 영업일인 평일까지 발급하면 돼요!
예를 들어 4월 10일이 토요일이면 4월 12일(월요일)까지!

이 날짜 정말 중요한데요 아래 글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어요!!
새금계산서 발급일 완벽 정리!!


---

오늘도 함께 공부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당
우리 같이 경리 에이스로 성장해봐요옷!
화이팅이에요! o(≧▽≦)o

관련 글 추천
면세사업자의 계산서 완벽 정리
종이 세금계산서 vs 전자세금계산서
부가가치세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