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리 업무 꿀팁!

세금계산서 필요적 기재사항 총 정리 - 이건 필수로 넣어야 해요!

경리 에이스 조사원 2025. 4. 4. 15:13

안녕하세요오🐥
막 경리일 시작해서 하루하루 배우는 중인 20살 신입 경리 조사원이예요ㅎㅎ
요즘은 거래처랑 세금계산서 주고받는 일도 점점 익숙해지고 있는데요~
막상 직접 작성해보려니까 ‘이거 꼭 써야 되는 거 뭐였더라?’ 싶을 때가 많더라구요😣

그래서 오늘은 세금계산서 쓸 때 진짜진짜 꼭! 빠지면 안 되는 필수 기재사항에 대해서 쉽게 정리해봤어요!
저처럼 경리 초보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💗
그럼 바로 시작해볼게요💨


🌷 전자세금계산서? 뭐길래 이렇게 중요할까?

전자세금계산서는 사업자끼리 거래할 때 작성하는 거래 증빙서류예요!
쉽게 말하면 ‘언제, 누가, 얼마치, 뭘 팔았는지’를 딱 적어서 세금 신고에 쓰는 공식 문서인 거죠😊

이걸 제대로 안 쓰거나 빠뜨리면…? 😱
→ 부가세 신고할 때 문제 생기고, 심하면 가산세 물 수도 있어요…!
그러니까 필수사항은 진짜 꼭꼭 챙겨야 해요💦


📌 세금계산서에 꼭 써야 하는 필수 항목들!

이건 법적으로 꼭! 반드시! 빠지면 안 되는 내용들이에요.
하나라도 빠지면 그 세금계산서는 ‘무효’가 될 수도 있고, 세금 신고에 못 써요ㅠ

📝 필수로 기재해야 할 항목은 이거예요!

 

공급자(판매하는 쪽)의 사업자등록번호

공급자 상호(회사 이름), 성명

공급받는 자(구매하는 쪽)의 사업자등록번호

공급받는 자(구매하는 쪽)의 상호, 성명

작성일자 (세금계산서 발행일)

공급가액 + 부가가치세액

 

이 여섯 가지는 꼭꼭꼭 들어가야 해요!
하나라도 빠지면 거래 증빙으로 효력이 사라지고, 세금 혜택 못 받을 수도 있어요😢


🍀 필수는 아니지만 있으면 좋은! ‘임의적 기재사항’

다음 내용들은 필수는 아니지만, 있으면 더 좋아요!
기재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부분이라서 ‘임의적 기재사항’이라고 해요😊

✔ 공급자의 주소
✔ 공급받는 자의 상호, 성명, 주소
✔ 거래 내용의 단가, 수량
✔ 실제 상품 공급된 날짜(공급연월일 등)

이런 내용이 있어야 거래 확인도 쉽고, 나중에 문제 생겨도 대응이 쉬워요!
그러니까 가능한 한 자세히~ 예쁘게~ 적어두는 게 좋아요💕

 


💥 필수기재 빠지면 진짜 큰일?! 어떤 문제가 생길까?

홈택스에서 필수 기재 사항을 안 넣었을때!

 

필수기재 빠지면 홈택스에서 발행 자체가 안돼요!!


🛠 실수했을 땐? 수정세금계산서로 고치면 돼요!

혹시라도 실수로 잘못 썼다면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~
‘수정세금계산서’라는 걸 발행해서 고칠 수 있어요!

혹시 수정 세금계산서에 대해 궁금하면 아래 글에서 완전 자세히 알 수 있어요!

▼저도 이 글 보고 완전 이해했습니다!

💡수정 세금계산서 (기재사항착오정정) 발급 가이드 라인


🎀 실수 줄이려면 이렇게 해보세요💡

신입일수록 실수가 많잖아요? (저도 그래요😂)
그래서 제가 배운 꿀팁 하나 소개할게요🍯

💌 거래처의 사업자등록증을 꼭 받아두세요!
→ 등록번호, 상호, 주소 같은 기본 정보가 정확하게 적혀 있어서 실수 줄일 수 있어요💕

이건 진짜 실무에서 제일 도움 많이 되는 꿀팁이에요✨


🎉 마무리하며…

경리일 막 시작하면 용어도 어렵고, 헷갈리는 것도 많은데요💦
그래도 하나씩 배우다 보면 ‘아! 이건 꼭 챙겨야 하는구나~’ 하고 감이 와요!

세금계산서는 작은 실수가 나중에 큰 문제가 될 수도 있어서
처음부터 정확하게 작성하는 습관이 제일 중요하다는 거!

우리 같이 실수 없이 똑똑한 경리로 성장해봐요💪💖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앙~ 다음엔 더 유익한 경리 노트로 찾아올게요🎀

📌 오늘도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아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