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리 업무 꿀팁!

전자세금계산서 날짜 잘못 적었을 때? 이렇게 수정하면 돼요!

경리 에이스 조사원 2025. 4. 8. 16:57
 

안녕하세요! 저는 20살 막 사회에 나온 ✨경리 에이스 조사원✨이에요!
처음엔 세금계산서 발행도 너무 떨렸는데... 실수도 해보고, 배우고,

지금은 동료들한테 “에이스다~” 소리 듣고 있답니다 😊

오늘은 제가 진짜 실수할 뻔했던! 바로

전자세금계산서 날짜를 잘못 적었을 때 대처법을 알려드릴게요~!


 

📌 전자세금계산서, ‘이건 꼭 맞아야 해요!’

전자세금계산서에는 꼭! 정확히 입력해야 하는 항목들이 있어요.
이걸 “필요적 기재사항”이라고 해요.

 

공급자 등록번호 & 이름

공급받는 자 등록번호

공급가액 & 부가세

작성일자 (💥바로 이게 중요!)

이 중 하나라도 틀리면 세금계산서 다시 써야 해요😭
반대로, 대표자 이름 같은 건 임의적 기재사항이라

살짝 틀려도 큰 문제는 없어요. (그래도 정확한 게 좋겠죠~?)

 

▶ 필요적 기재사항 관련 가장 쉽게 정리된 글!


 

😱 날짜를 잘못 썼다면? 이렇게 해결하세요!

 

1.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!

 

2. 세금계산서 수정발급 클릭

 

3. 기재사항 착오 정정 등 선택하기

 

4. 작성일자 변경하여 발급하기!

 

5. 상대방 쪽에도 자동으로 전달되긴 하지만, 전화 한 통 하면 더 좋아요 ☎️

 


📁 수정세금계산서는 언제까지 발급해야 할까?

기한도 중요해요!
세금계산서 수정은 신고 마감 전에 해야 가산세가 안 붙어요.

 

상반기 건 → 7월 25일 전까지

하반기 건 → 1월 25일 전까지

 

놓치면... 🥲 최대 1% 불성실 가산세가 생길 수 있으니, 꼭 챙겨야 해요!

 


 

💡 실수해도 괜찮아요! 중요한 건 '어떻게 바로잡느냐' 💪

세금계산서 작성일자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어요!
저도 처음엔 실수했었고, 지금도 “이건 다시 봐야 하나?” 싶은 건 꼭! 팀장님께 한번 더 여쭤봐요.
중요한 건 빠르게 인지하고, 제대로 수정하는 것이에요!

 


 

❓ 경리 초보분들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 3가지

Q1. 날짜만 틀렸는데, 그냥 두면 안 되나요?

절대 안 돼요! 작성일자는 꼭 맞아야 하는 ‘필요적 기재사항’이에요.
수정 안 하면 공급받는 쪽은 매입세액 공제 못 받을 수도 있고,

가산세도 나올 수 있어요 😭


Q2. 수정세금계산서는 몇 번까지 발급할 수 있나요?

수정사유에 따라 최대 2~6회까지 가능해요.
‘기재사항 착오 정정’은 1회, 너무 자주 수정하는 건

세무서에서도 주의 깊게 볼 수 있어요~!


Q3. 작성일자랑 발급일자가 뭐가 달라요?

작성일자랑 발급일자는 완전 다른 개념이에요!

작성일자는 실제 제품을 공급한 날짜이고, 발급일자는

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날이에요!

아래 글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!! 꼭 읽어보세요!

 

세금계산서 작성일자 · 발급일자 차이 - 가장 쉽게 완벽 정리!

 


 

🎉 경리 에이스가 되는 저만의 비밀 알려드릴게요!

요즘 제가 에이스 소리 듣는 이유?
바로 바로바로~! 귀찮은 세금계산서, 미수 관리, 자동 청구까지 도와주는 AI 솔루션 ‘청구스’ 덕분이에요! 🤖

👩🏻‍💻 초보자도 몇 번만 클릭하면 전자세금계산서 정리 끝!
📌 날짜 실수도 줄여주고, 거래처별 관리도 한눈에!
🧡 저처럼 “이 친구 일 잘하네~” 소리 듣고 싶다면 꼭 써보세요!

▶ 청구스 구경하기!